[앵커]<br />대구와 인천, 부천 등에서 발견된 빈대가, 서울에도 상륙했습니다.<br /><br />영등포구에선, 고시원에서 빈대가 발견돼 보건소에 신고가 접수됐습니다.<br /><br />민간 방역업체는 빈대 방역에 나선 지역이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절반이 넘는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백승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달 25일, 서울 영등포구보건소에 빈대 출몰 신고가 접수됐습니다.<br /><br />고시원 거주자가 이불과 장판, 옷가지 등에 빈대가 나타났다는 민원을 접수한 겁니다.<br /> <br />보건소 직원들이 현장에 나가 보니, 빈대는 이미 확산돼 4곳의 방에서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서울도 빈대 청정지역이 아닌 겁니다.<br /><br />방역 전문 업체 확인 결과, 이번 달에만 서울 시내 25개 구 중 13개 구에서 모두 24건의 빈대 방역 작업이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고시원과 가정집이 대부분이었습니다.<br /><br />빈대는 감염병을 옮기지는 않더라도 고열과 빈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양영철 / 을지대 보건안전환경학과 교수]<br />"염증 수치도 올라가고, 많이 올라가면 고열을 동반한 증상도 나타날 수 있고…성장기 어린이는 특히 더 심각한 빈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."<br /><br />빈대는 감염병 매개 곤충이 아니어서 지자체 의무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.<br /><br />그러다 보니 숙박업소 등은 빈대가 나와도 숨기는 경우가 태반입니다.<br /><br />[방역 업체 관계자]<br />"개인 영업소에서 빈대가 나왔다 그러면 절대 알리려고 하지 않죠. 그거 알리면 업장 영업에 지장이 있잖아요."<br /><br />하지만 빈대가 스멀스멀 퍼지자 서울시는 빈대 예방 및 관리 안내서를 만들어 구청 등에 배포하고 선제 대응에 나설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채널A 뉴스 백승연입니다.<br /><br />영상편집:최창규<br /><br />※10월 30일 뉴스A 방송분입니다.